오늘은 삼성전자와 관련된 여러 소식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분기 반도체 시장 21% 성장
올 1분기 반도체 상위 15개 기업의 매출이 무려 21% 성장하였다고 합니다
(상위 15개사 매출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기에 전체 시장 성장과 동일시해도 될 정도죠)
1위는 인텔이 차지했으나 15개 기업 중 유일하게 전년동기대비 하락(4%)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향후 인텔이 반도체 왕좌의 자리를 지키지 못할 것이라 봅니다.
(매출이 줄어들 것이란 소리는 아닙니다. 다른 회사의 성장이 더 뛰어날 것 같단 것이죠)
AMD, 엔비디아와의 경쟁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빼앗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죠
AMD는 올해 무려 93% 성장하면서 탑 15에 진입하였고, 엔비디아 역시 그 큰 덩치의 회사가 51% 성장을 하였습니다.
또한, 모바일AP의 강자인 퀄컴 또한 55% 성장을 하였습니다.
(최근 가장 관심있게 보는 기술주가 퀄컴입니다)
국내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5%, 26% 성장을 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사태만 아니였어도 20% 가까운 성장을 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삼성전자 15% TSMC 25% 1분기 반도체매출 쑥...인텔 역성장 : 네이버 금융
올 1분기 반도체 시장 전년 대비 21% 증가매출 삼성 15% TSMC 25%↑...인텔 4%↓AMD 미디어텍 매출 90% 증가 톱 15 진입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사진제공 = 삼성전자] 올해 1분기 글로벌 반도체
finance.naver.com
1분기 성장뿐만 아니라 하반기 성장률 역시 상당히 기대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대한 회의론이 있기도 하지만 1분기 성장은 아직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2분기는 반도체 쇼티지 현상으로 기업들의 성장률이 1분기만 못할수도 있지만 말이죠
D램은 걱정하지마! 낸드야 힘을 내!
삼성전자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선 디램과 낸드플래시가 2018년의 영광을 재현해야 합니다
1분기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은 전 분기 대비 5.1%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공급우위 현상으로 ASP(평균판매단가)가 5% 하락하였으나 물량 증가(11%)로 매출액이 증가한 것이죠
삼성전자는 전분기 대비 매출이 7% 증가하며 점유율도 33.5%로 0.6% 증가하였습니다
1분기 글로벌 낸드 매출 5.1%↑… 삼성전자 선두, SK하이닉스 급성장 - 머니S
올해 1분기 글로벌 낸드 플래시 시장이 평균 가격 하락에도 출하량이 늘어나며 성장을 이뤘다. 삼성전자가 계속 선두를 달렸고 SK하이닉스도 상승세를 이어갔다.2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moneys.mt.co.kr
해당 기사에서는 트렌드포스가 2분기 낸드 공급과잉이 해결되면서 가격이 상향되었다고 전하였습니다
실제 4월 낸드플래시 고정가는 전달에 비해 8.57% 증가하긴 했었습니다 (참 오랜만이죠)
그렇지만 얼마 전 마이크론의 IR에서 CEO는 디램의 성장은 2분기뿐만 아니라 하반기에도 강할 것이라 말했는데
(4월 D램 고정가는 26% 이상 상승)
낸드에 대해서는 공급과잉이 2분기에도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식으로 말했습니다
디램에 비해 낸드쪽이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다보니 공급과잉 문제가 쉽사리 해결되지 않아보이는데,
3분기부터 인텔의 새로운 CPU가 나오고하니 이를 기대해보아야겠습니다.
외국계 펀드는 국내 대형주를 좋게 바라본다. 단, 시간이 필요하다
미국의 한 헤지펀드가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국내 대형주의 주가 상승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말했습니다
삼성전자의 PER이 애플의 절반, 현대자동차가 장부가의 64%에 거래되고 있다는 근거를 되었습니다
실제 본인들은 1분기에 대형주 주식을 매입하였다고도 하네요
(샀지만 팔았는지 어쨌는지 어떻게 믿냐~~ㅎㅎ)
美 헤지펀드 "삼성·현대차" 등 韓기업 주가 상승 여력 "충분" : 네이버 금융
달튼인베스트먼트, 韓 기업 추가 성장 한계 우려 일축 "1분기 조정장 때 주식 매수"[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미국의 대표적인 헤지펀드 달튼인베스트먼트가 삼성을
finance.naver.com
해당펀드는 그러면서 삼성, 현대, SK, LG 그룹 등의 기업들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는데에는 3~5년이 더 걸릴수도 있다는 말을 했습니다
불나방 같은 개미들은 이를 보며 뭐라는거야~하며 무시할수도 있을 것입니다 ㅎㅎ
개인적으로도 위 기사에 언급된 기업들 몇 개를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3~5년을 기다릴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전에 좋은 결과가 있으면 좋겠지만
3년 기다려서 50% 수익을 거두면 충분한 거 아닐까요? ㅎㅎㅎ
어찌합니까~~어찌합니까~~~하만카돈
삼성전자 관련 글에서 제가 하만카돈의 잠재력을 언급했던 적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 중 하나인 전장사업에서 유의미한 성장을 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는 기업이었죠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작년 영업이익이 83%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물론 코로나로 인한 영향도 있겠지만 본질적인 사업 경쟁력 약화도 하나의 원인 같습니다
네이버 금융
작년 영업익 83% 감소오디오→전장사업 체질개선 더뎌완성차 업계 부품 공급에 어려움 겪어사진=연합뉴스삼성전자가 2017년 자동차 전장사업 진출을 위해 인수한 '하만'이 수익성 개선에 어려움
finance.naver.com
삼성전자가 하만을 9조가 넘는 가격에 인수하였고, 인수전에는 영업이익이 7천억에 가까웠고 영업이익률도 8%대였죠
삼성전자로 넘어가면서 몇 몇 거래사들이 거래를 끊게되며 수익이 줄어들었다가 18, 19년 조금씩 회복하고 있었는데
20년 코로나 직격탄을 맞고 삐걱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사에서 보면 "삼성전자가 하만을 통해 키우고 싶어하는 첨단 운전자 주행보조시스템(ADAS)용 반도체 분야에서 차별성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 라고 경쟁력 없는 제품에 대한 언급도 합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삼성전자는 향후 자동차용 반도체 솔루션에 큰 관심을 갖고 준비 중입니다
이를 위한 발판이 하만의 전장사업인데, 기초가 삐걱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죠
며칠 뒤면 5월 수출실적과 5월 D램 및 낸드플래시 고정가가 나올텐데요
이를 보면 삼성전자의 대략적인 2분기 실적이 가늠되지 않을까 싶네요
'반도체(삼성전자, 삼성전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디램 및 낸드플래시 고정가 상승 (0) | 2021.08.01 |
---|---|
삼성전자와 포스코 2분기 실적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2) | 2021.07.11 |
삼성전자, 뜸들이던 투자계획 발표할까? (0) | 2021.05.16 |
삼성전자 임원들의 자사주 매입 (2) | 2021.05.12 |
삼성전자 주가가 궁금하거든 디램익스체인지를 봐라 (0) | 2021.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