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DI23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예상 실적의 지속적인 상승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를 통해서 기업의 실적 추정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아래는 4월 28일 기준 스타벌크(SBLK)의 21년 분기별 실적 예상치이죠 3명의 애널리스트만이 스타벌크 캐리어스를 커버하고 있습니다 (시장 관심도가 아직은 낮다는 것이죠 ㅎㅎ) 1분기 EPS는 $0.39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 2~4분기는 각각 0.65/0.65/0.9로 예상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상당히 보수적인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21년 연간 EPS는 $2.68로 선행 PER로 7배가 살짝 안되는 저평가입니다 ㅎㅎㅎ 최근 우리나라 컨테이너 대표주 HMM과 벌크 대표주 팬오션이 급등하며 PER이 상승하는 것을 보면 벌크 업종에서 글로벌 리더 중 하나인 스타벌크가 상당히 과소평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5.. 2021. 5. 17. 미국 국채금리 오른다고 주식 망할 것처럼 말했던... 평소에 미국 국채금리에 관심도 없던 사람들이 어느 순간 미국국채금리만 찾아보았던 순간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대부분은 미국 국채금리 찾아보는 걸 그만두었을 것입니다. 도대체 여러분이 언제부터 미국 국채 수익률에 관심이 있었나요? 3월, 매일 뉴스에 미국 국채수익률이 급등한다고 기사가 쏟아졌었습니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이 갑자기 미국 국채금리를 보고 주가방향을 이야기 합니다. 주식투자를 하면서 금리추이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금리라는 지표 하나가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정해주지 않습니다 심지어 금리와 주식의 상관관계가 마이너스도 아니죠 과거 10년동안의 미국 국채금리와 다우지수/나스닥 주가지수를 찾아보시면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는 큰 관심도 없는 신용융자 금액 작년 코로나 이후 신.. 2021. 4. 26. BDI 5년래 최고치 갱신,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투 더 문? BDI(벌크 운임)가 5년래 최고치인 2,462를 갱신하고 2,472를 기록했습니다 종전치가 2019년 9월에 기록했던 2,462인데 이를 10포인트 넘어섰습니다. 더욱 대단한 것은 일반적인 성수기로 여겨지는 7~10월이 아니라 비수기로 여겨지는 4월에 이를 달성했다는 것입니다 현 추세가 이어진다면 2~3분기에 BDI는 20년 전쯤 달성했던 5천이 꿈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의 실적 발표가 5월 말에 있는데, 참으로 기다려집니다 2021. 4. 21.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관련 정보 저장용 안녕하세요 스타벌크 캐리어스의 20년 4분기 사업보고서 및 21년 연간 투자보고서 내용 중 몇 몇 정보를 저장해둡니다 SBLK의 선박 포트폴리오(Fleet) 20년 4분기 기준 스타벌크의 선박 포트폴리오입니다 현재 총 126대이며, 평균 연식이 9.3년 이하로 신규 선박이 많습니다 케이프+ 선박이 48척, 파나막스+ 선박 41척, 슈퍼맥스+ 선박 37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타벌크 캐리어스의 OPEX 타사대비 현저하게 낮은 OPEX, 2020년 연간으로 $4,122 업종 내 Peer 그룹과 비교해보면 경쟁력이 얼마나 뛰어난 지 알 수 있습니다. 비용이 낮아야 타 업체대비 낮은 가격을 불러서 더 많은 수주를 할 수 있겠죠? (물론 현재는 공급이 더 적어 해운사가 유리한 입장일테지만요) 벌크 선박 공급이슈.. 2021. 4. 1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