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크(SBLK)

벌크업황 진짜 피크아웃인가? 수급으로 살펴보자 (SBLK)

by 워렌넝구 2021. 11. 21.

오늘은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컨콜을 살펴보기 전

SBLK 사업보고서 자료를 통해 벌크업황이 진짜 피크아웃할 것인지를 고민해보려 합니다.

결국 피크아웃이냐 아니냐는 수급을 봐야하는 것이기에 수요와 공급으로 나눠서 살펴보겠스니다

 

추측을 하지말고 데이터로 보자 - 공급편

SBLK 주가가 힘이 떨어지는 이유는 누차 말씀드리지만 내년 벌크업황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올해는 특수 상황이었고 중국이 현재 정책을 유지하면 벌크운임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보는 것이죠

그럼 스타벌크 캐리어스 경영진이 바라보는 내년 업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클락슨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들입니다)

공급 상황은 지난 1분기때부터 말씀드린 상황이 변한 것이 없습니다

벌크선 신규주문을 살펴보면 2021년은 기록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정책에 따른 환경규제, 원자재 증가에 따른 선박비용 상승, 조선소 물량증가에 따른 야드 부족 등이 원인)

그런데 더욱 중요한 것은 신규주문이 2015년부터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죠

즉, 벌크 선대가 점점 노후화되고 있다는 것이고 노후화된 벌크선은 신규 선박대비 운송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특히 탄소제로 정책이 강해질수록 심각해지죠. 이건 다른 글들에서 여러번 언급했습니다)

또한 신규 선박수가 적으면 향후 몇 년간 신규 선박수 대비 폐선수가 높게 유지될 것이고 이는 공급이 빠르게 증가하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하죠

단기적으로도 향후 2~3년간 나올 수 있는 선박 공급량은 상당히 낮은 수준입니다.

아래는 벌크선 인도수입니다.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신규주문과 2년 정도 텀이 있다고 볼 수 있죠

14년부터 신규주문수가 줄어드니 16년부터 인도수가 줄었고, 19년 주문수가 줄자 올해 인도수가 낮고요

아마 23년까지 급격하게 인도되는 선박수가 증가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주문이 들어갔어야 만들테니가요.

이러한 상황때문에 현재 선박 중에서 15년 이상된 선박이 전체 선박의 17%가량이 된다고 합니다.

보통 20년 이상되면 폐선을 고려하고, 특히 최근에는 해운쪽 탄소규제 정책으로 폐선되는 시기가 앞당겨질 확률이 높습니다

아래는 벌크선 폐선 추이입니다.

2018년부터 폐선되는 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0년은 코로나때문에 운임이 폭락을 해버려서 일시적으로 폐선 수가 늘었으나

올해 높은 운임과 공급부족으로 폐선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난 4년동안 폐선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는 것은 폐선이 이연되었다는 것이고

결국 향후 2-3년안에 대량의 폐선이 이루어질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특히 폐선을 미루어왔던 노후 선박들은 강화되는 탄소중립 정책하에서 설자리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것이죠

현재 벌크업계에서 2022년과 2023년 연간 평균 1.5%의 선박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이 된다고 합니다

피크아웃이 되려면 늘어나는 공급보다 수요의 증가량이 적거나 오히려 감소해야 하겠죠?

 

추측을 하지말고 데이터로 보자 - 수요편

이제 수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자료 SBLK 사업보고서에 나와있는 역시 클락슨 리서치 자료입니다.

벌크선 수요(톤-마일 기준)는 2016년부터 평균적으로 2~23대의 낮은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로 운송량은 감소하였으나 중국-호주 정치적 갈등 등으로 비효율적인 선로로 인해 톤마일은 0.8% 상승했네요

21년은 기저효과와 경제성장으로 4.8%대의 높은 성장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은 약 2.4%로 준수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이 되고있죠

위에서 공급이 약 1.5% 증가할 것이라고 했는데 수요는 2.4% 성장을 한다고 합니다

정확하게 톤마일로 비교한 것은 아니어서 수요가 우세하다고 딱 집어 말하긴 힘들지만

시장에서 걱정하는 피크아웃, 특히 급격한 운임하락이 나올까 싶습니다.

 

그 외 현상들

해운운임이 비싸지기 위해서는 원자재 수요가 높아야하고 이는 원자재 가격이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아래 기사는 미국의 석탄가격이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나오네요

에너지 수급불안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자 석탄가격도 오르고 있는 것이죠

위 수요 관련 내용에서 보면 21년 톤-마일 상승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바로 석탄입니다.

(마이너 벌크는 이것저것 합쳐진 것이니)

석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수록 관련 톤-마일은 증가하고 운임도 따라서 증가할 것입니다.

 

美 석탄가격 12년 만에 최고치

미국의 석탄 가격이 1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최근 영국 글래스고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참가국들이 석탄의 '단계적 중단'이 아닌 '단계적 감축'으로 협상함에

news.naver.com

일본도 석탄 수입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네요 ㅎㅎㅎ

러시아나 미국에서 주로 구매를 하는 거 같은데, 러시아쪽 물량은 줄고 미국산 석탄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네요

러시아-일본, 일본-미국 어디가 더 멀까요??

 

일본 10월 석탄 수입량, 전년대비 8.2% 증가... LNG 수입은 22.1% 급감

일본의 지난 10월 중 석탄 수입량(잠정치 기준)이 1,590만톤을 기록, 지난 해 동월에 비해 8.2% 정도 증가...

blog.naver.com

미친듯이 오르던 철광석 가격이 중국공급으로 안정화되고 있으나 기타 원자재는 여전히 급등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