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크(SBLK)

급등하고 있는 BDI, 조정은 끝난 것일까?

by 워렌넝구 2021. 6. 15.

최근 조정을 받던 BDI(벌크운임지수)가 급등을 하고 있습니다

최고점인 3,266을 찍고서 무려 2,420까지 26%나 하락하면서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의 주가 하락을 부추겼었는데요

그 이후 엄청난 속도로 반등을 하고 있습니다

위에 차트는 6월 11일자로 2,857을 기록하였지만 6월 14일 2,944까지 상승을 하였습니다

무려 4일만에 500포인트가 넘게 상승을 한 것입니다

 

BDI가 4월중순부터 5월중순까지 엄청난 속도로 상승하면서 조정이 오겠다 싶긴했는데

중국에서 철강수출 제한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 정책을 피면서 철광석 가격이 하락하였고

그로인해 BDI도 함께 조정을 크게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철강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고 올해 내내 수요가 공급을 앞서는 상황일 것입니다

즉, 철강 생산을 위한 철광석 운반수요는 꾸준할 것입니다

 

아래 기사는 최근 BDI 급등에 관한 기사인데요 

 

BDI 2857포인트…파나막스, 금주도 ...

6월11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2857을 기록했다. 지난 주 벌크...

www.ksg.co.kr

BDI를 구성하는 지표는 BCI, BPI, BSI가 있습니다

각각 케이프운임지수, 파나막스 운임지수, 슈프라막스 운임지수입니다

위 기사를 보시면 각각 지수가 어떤 원자재를 옮기는지 대충 알 수 있습닏

케이프는 가장 큰 벌크선으로 철광석과 같은 원자재를 주로 올믹고,

파나막스는 중간 크기로 대두와 같은 곡물, 석탄 등을 옮기네요

수프라막스는 가장 작은 배로 곡물 등을 옮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파나막스나 수프라막스도 원자재를 옮기긴 합니다

 

4월 중순에서 5월 초중순 BDI가 급등했던 것은 케이프운임지수(BCI) 급등 때문이었고, 급격한 조정도 BCI가 원인이었습니다. 

다시 BDI가 급상승한 원인도 BCI 급등이 큰 원인이죠

즉, 철광석이나 구리 등의 원자재 수요가 살아있는 한 BDI는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3분기는 곡물 운송 성수기이기도 합니다

 

과연 BDI가 3분기에 제가 기대했던 5천을 돌파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정말 그런 순간이 온다면 SBLK의 실적과 배당, 주가가 어떻게 될 지 기대가 크네요 ㅎㅎ

제발 저의 희망회로대로 되었으면~~하는 바람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