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1편에 이어 나머지 부분을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편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경영진의 팟캐스트 인터뷰 요약 1편
스타벌크 캐리어스 경영진이 미국의 한 팟캐스트에 출연하였습니다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아마 해운쪽 전문 팟캐스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SBLK의 사장인 Hamish Norton(HN), 공동 CFO인 Christos Begleris(CB)
khiro38.tistory.com
글을 쓰는 시점에서 스타벌크 캐리어스는 52주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1편을 쓰면서 벌크산업에 2-3년 미래에 대해 확신이 들어 추매를 했었는데, 빠르게 결과가 나오고 있네요
정말 3분기 BDI 5천을 볼 수 있는 순간이 오는 것일까요? ㅎㅎㅎ(6/17일 BDI 3,176입니다)
벌크선의 공급증가는 매우 제한적
(CS와 SS 답변)
현재 벌크선을 주문하고 받기까지 2년의 시간이 걸리며, 최근 철강 가격이 두 배나 증가하며 신규 발주 급증은 눈에 띄지 않고 있다.(기존보다 1,400만 달러의 추가비용이 드는 상황)
(공급상황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조금은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 배당금은 땡큐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SBLK의 1분기 실적과 상세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컨센을 미달한 EPS, But 2분기를 기대하자 1분기부터 BDI가 폭등하면서 스타벌크의 실
khiro38.tistory.com
또한 IMO가 2023년부터 시행 할 탄소배출 규정을 감안할 때 fuel oil 엔진만을 가진 배를 주문하지 않을 것이다
LNG 엔진을 함께 가진 배를 주문한다면 500만~1천만 달러의 추가비용이 들 것이다
일본 조선소는 24년까지 배를 만들 수 있는 도크가 없을뿐만 아니라 조선소는 더 높은 가치의 선박을 만들고 싶어한다(일반적으로 벌크선은 LNG선이나 다른 배에 비해 가격이 낮습니다)
(앞으로 조선주와 조선부품주에 관심을 가져야 하겠단 생각도 듭니다)
탄소중립이 SBLK와 벌크산업에 미치는 영향
(HN 답변)
탄소중립정책으로 벌크산업에 규제가 더 많고 복잡해질수록 SBLK는 다른 회사에 비해 더 장점을 가진다
SBLK는 벌크사업 회사 중 가장 큰 회사중 하나로 이러한 변화에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회사이며,
주요 지표인 EEXI와 CII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회사이다.
- EEXI: 선박의 연료효율 요구사항 (2023년),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선박의 속도를 낮춰야 함
- CII: 탄소집약도지수 (2023~2030년), 훨씬 더 중요. 운송 단위 당 CO2 양
스타벌크의 함대는 업종 내 피어그룹보다 상대적으로 연료효율이 더 좋은 곳이다.
결국 벌크 선사들이 EEXI와 CII를 지키기 위해선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하거나 더 낮은 속도로 운송을 해야하고,
이는 간접적인 공급량의 감소를 의미한다.(배가 더 낮은 속도로 운항하면 더 오래 걸리니까요)
탄소세는 고유가와 같이 벌크운임을 높여주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회사의 미래 자본배분과 목표 부채수준
(진행자 JM 질문)
SBLK는 지난 몇 년동안 시장이 힘들어짐에도 불구하고 보유 선대에 스크러버를 장착하며 부채가 많아졌습니다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경영진의 올바른 선택은 주가를 상승시킬 것
최근 BDI는 꾸준히 2천대 위에서 머무르며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스타벌크캐리어스의 경영진이 작년에 진행했던 여러 선택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꾸준한 투
khiro38.tistory.com
향후 부채비율을 얼마나 낮출 것이고 배당 프로그램은 어떻게 할 것입니까?
(HN&CS 답변)
단기적으로는 배당과 디레버리징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현재는 새로운 배를 주문할 생각이 없으며, 배를 인수하게 될 경우 현금보다는 지분을 활용할 것이다.
배당을 높이고 부채비율을 낮춰 주가를 높임으로써 이러한 지분활용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SBLK는 현재 유가에 대해 헷지를 하고 있지 않으며, 대신 저유황 연료와 고유황 연료사이의 스프레드를 이용하고 있다
(세계경재 재개로 인해 유가 상승을 바라보기에 헷징을 안하는 것 같습니다)
2.3억달러의 비용이 든 스크러버 설치로 1억 달러 이상 추가수익을 거두고 있으며, 2년 이내에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다(스프레드가 톤당 $120일 때)
2019년 스크러버 투자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현재 상황에선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스타벌크 캐리어스의 운임계약
회사는 일부 전세 계약을 하고 있는데, 대부분 현물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거래 기간은 3~6개월 수준으로 평상시보다 짧다
이는 시장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편과 2편 윗부분 인터뷰에서 계속 말했죠)
스타벌크 캐리어스 주식을 사야하는 이유
(HN&SS&CS 답변)
SBLK는 슈프라막스와 케이프 사이즈 범위에 다수의 함대를 가지고 있어, 매우 균형잡힌 선박 포트폴리오를 갖췄다
(아래 글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관련 정보 저장용
안녕하세요 스타벌크 캐리어스의 20년 4분기 사업보고서 및 21년 연간 투자보고서 내용 중 몇 몇 정보를 저장해둡니다 SBLK의 선박 포트폴리오(Fleet) 20년 4분기 기준 스타벌크의 선박 포트폴리오입
khiro38.tistory.com
이를 바탕으로 업계에서 가장 낮은 비용과 우수한 전세계약을 가지고 있다
벌크업종에서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이며 배당정책 하에서 현금 흐름을 주주에게 환원하고 있다
거의 모든 배에 설치 된 스크러버는 에너지 집약적이며 유가 상승 환경에서 추가 수익을 안겨줄 것이다
'벌크(SB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VV와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끝난 것일까? (0) | 2021.07.21 |
---|---|
유럽과 IMO의 친환경 규제, 공급을 줄이다 (0) | 2021.06.26 |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경영진의 팟캐스트 인터뷰 요약 1편 (0) | 2021.06.16 |
급등하고 있는 BDI, 조정은 끝난 것일까? (0) | 2021.06.15 |
스타벌크 캐리어스(SBLK) 조금은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 배당금은 땡큐 (2) | 2021.05.23 |
댓글